본문 바로가기
FastCampus/작심 30일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O9일차

by Dream_World 2021. 9. 14.

제어문

우리는 일상 생활에 정리해야 하는 것이 많다.

책, 각종 먹을거리, 공부했던 내용들 등등등...

많은 물품들이 어디 있는지 알아야 할 때도 있으며

가져다가 활용하고 제자리 나둬야 할 떄도 있을 것이다.

우린 보통 수첩에 작성하거나, 머리속에 남겨두고나, 사진을 찍어서 위치를 저장하게 된다.

그런 물품이 넘치게 많을 때는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 ? 계속해서 수첩에 적어야 할까 ?

그런 고민을 하게 되는 순간이 많이 올 것이다.

요즘에는 IT가 많이 발달해서 어플에다가 저장할 경우도 생긴다.

허나, 휘발성이 강하기도 하다는 점...

그럼에도 python 문법에서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학습해서 얼마나 효율적인지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를 사용하는 이유

- 데이터가 많을 때 정리가 필요

 

리스트 만드는 방법

- list = [Data, Data, ... , Data] / list = []

 

데이터 접근하기

- list = [0] [1] [2] [3] ...

- Data [0] = 0 번째 인덱스

- Data [1] = 1 번째 인덱스

list = [1, 2, 3, 4]

 

데이터 추가, 수정, 삭제

- 데이터 추가 : list.append(data)

- 데이터 할당 : list[index] = data

- 데이터 삭제 : del list[index]

데이터 추가, 할당, 삭제 입출력

# 데이터 추가, 수정, 삭제
list = [1, 2, 3]

list.append(4)
print("추가 : ", list)
list[0] = 0
print("할당 : ", list)
del list[1]
print("삭제 : ", list)

 

리스트 슬라이싱, 길이, 정렬

- 리스트 슬라이싱 : list[시작:끝 +1]

- 리스트 길이 : len(list)

- 리스트 정렬 : list.sort()

리스트 슬라이싱, 길이, 정렬 입출력

# 리스트 슬라이싱, 길이, 정렬
list = [3, 4, 1, 2]

print("슬라이싱 : ", list[1:3])
print("길이 : ", len(list))
list.sort() # 오른차순 정렬
print("오름차순 정렬 : ", list)
list.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정렬
print("내림차순 정렬 : ", list)
리스트 정렬 중 생소한 단어가 있어서 작성하게 되었다.
오름차순 정렬 sort(), 내림차순 정렬 sort(reverse=True)
다른 방법도 있을 것 같은데 ...

 

실습문제 5.2.1

다음은 패스트 고등학교 2학년 3반 1번부터 5번까지의 1분간 팔굽혀펴기 개수이다. 데이터는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 각 문항을 실행한 결과를 출력해 보자.

result = [33, 40, 12, 63, 52]

문항 1. 6번의 팔굽혀펴기 개수는 9개이다. 리스트의 마지막에 추가하자

문항 2. 2번은 재측정하여 50개를 하였다. 2번의 데이터를 변경해 보자.

문항 3. 3번부터 6번까지 데이터를 슬라이싱하자.

문항 4. 모든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자.

실습문제 5.2.1 문항1 ~ 문항4 입출력

 

실습문제 5.2.2

턱걸이 평균 측정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먼저, 턱걸이 횟수를 저장할 빈 리스트를 만든다. 그리고 일주일간의 턱걸이 횟수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한다. 리스트에 저장된 데이터의 평균을 구해 출력한다.

실습문제 5.2.2 턱걸이 횟수 평균 입출력

역시나 두번 째 문제는 직접 못 풀어서 강의를 보게 되었다.
_1day, _2day ... 이걸 입력하는 것보다는 x 값으로 통일해도 되는것을 알게 된다.
출력에는 x랑 값이 표기 안되기 때문에 그런것 같은데 난 구분 지어주기 위해 1일차~7일차 다 작성하게 되었다.
강사님의 실수도 보고 에러 잡는 모습도 보았다. (난 왜 7인덱스를 표기하지 의문점을 가지면서 보고 있었지만)

 

오늘은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학습을 해보았다.

내가 처음 생각했던 사물보다는 숫자 개념을 따지고 보니까 무한대를 생각할 수가 있었다.

숫자에서 뽑아내고 추가하고 수정하는 작업이 주로 많이 사용 될 것으로 보여진다.

어제도 말했듯 문제를 이해한다고 하면서 코드를 입력하면 막상 이해 한 부분이 없었던 것 같다.

그냥 연산자 사용해서 하는 것 까지는 했지만, append를 생각 못하여 고민하다가 강의를 보게 된 것이다.

이렇게 또 다른 문제를 접하면서 나의 한계를 또 한번 시험해본다.

어려워도 재미가 있었기에 다행이라고 말해야 하나 ...

09일차는 여기서 마무리 하고자 한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링크 :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댓글